제로페이 혜택, 사용법, 가맹점 조회 등 A부터 Z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유익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정보알리미JH입니다.
오늘은 바로바로 요즘 한참 뜨고 있는 제로페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로페이라고 하시면 많이들 들어보셨을 건데요. 하지만 제로페이가 무엇이고, 혜택은 또 뭐가 있는지, 사용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모르시는 분들도 있으셔서 오늘 제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분들에게 수수료의 절감을 해주기 위해서 만들어진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입니다.
맨 처음 시작은 서울에서 시작하였지만 지금은 일부 지방에서도 사용하면서 점점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분들의 수수료 절감뿐만 아니라 소비자 혜택까지 높이고 있어서 요즘들어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고 QR 코드 방식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로 많은 음식점에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카드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판매사 사이에서 바로 직접 결제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수료에 대한 부담감도 없어서 선호를 하고 있고 점차 점차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 사용방법
제로페이 같은 경우 별도의 앱 없이도 38개의 은행 또는 간편 결제 앱에서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합니다.
위에 사진을 참고하셔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어플이 있으시면 해당 어플에 들어가셔서 '제로페이'라는 문구를 찾아서 쓰시면 되는데 어플마다 위치가 제각각이라서 가장 편하고 대중적인 네이버 페이 QR 결제로 제로 페이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에 말씀드린 네이버 페이로 제로페이 결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먼저 휴대폰에 네이버 앱을 켜면 Npay라는 글씨가 보일 건데 그거를 클릭합니다.
2)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현장 결제하기 버튼이 보이실 건데 그걸 클릭하고 들어가시면 됩니다.
3) 들어가셔서 보시면 오른쪽 상단에 제로페이라는 문구가 있을 건데 그거를 클릭합니다.
4) 클릭하면 제로 페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은행들이 있는데 여기서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은행계좌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연결 가능 은행 : 농협, KB국민, 신한, 우리, IBK기업, 부산, 경남, 수협, 우체국, 대구, 광주, 전북, 새마을금고, 하나 ,
신협, 제주, SC제일, 케이 뱅크, KDB 산업은행
연결 안 되는 은행 : 미래에셋대우, 카카오 뱅크, 삼성
※주의사항
제로페이를 처음 사용할 경우 계좌 연동 OR 이용 동의 과정을 거쳐야 되어서 미리 계좌 연동을 해놓아야지 결제하시기 편합니다.
3. 이용 혜택
이용 혜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집니다. 바로 가맹점 이용 혜택과 소비자 이용 혜택인데요. 그럼 각각의 이용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 가맹점 이용 혜택
1) 사업자등록번호만 있으면 전국의 가맹점에서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며, 가입비는 당연히 무료입니다.
2) 상시근로자 수 5인 미만, 전년도 매출액 8억 원 이하 가맹점 결제 수수료 0%
8억 원 초과 ~ 12억 원 이하 0.3% , 12억 원 초과 0.5% , 일반 가맹점 1.2%
3) 제로 페이 가입과 동시에 우리 지역의 상품권 가맹점으로 자동 등록이 됩니다. 또한 전통시장/상점가에 위치한 가맹점은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에 자동으로 가맹됩니다.
4) 가맹점 실시간 매출관리가 가맹점주 앱 하나로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결제내역 조회, 취소, 환불, 직원 관리 등)
5) 소상공인 대상 금리 우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B. 소비자 이용 혜택
1) 은행/결제사 앱으로 결제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고 위에 알려드린 은행/결제사 앱이 있으면 그걸로 간편하게 결제하시면 됩니다.
2) 제로 페이 스티커가 붙어있는 전국 소상공인 가맹점, 편의점,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등에서 결제 가능합니다.
※ 내 주변 가맹점을 찾을 때에는 제로 페이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위에 상단에 제로페이 소개에 가맹점 찾기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3) 서울시내 공용주차장 10% 할인 , 따릉이 50% 할인 , 서울 식물원 입장료 30% 할인 등 다양한 문화/관광시설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고 할인 혜택 받을 수 있는 곳을 점차 늘려가고 있습니다.
4) 결제 시 현금영수증을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3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우리 동네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및 온누리 상품권 이용이 가능하고 지역 상품권은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상품권이 필요하신 분은 포털사이트에'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을 검색하시고 들어가셔서 구매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앱에서 편리하게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고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니 경제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좋은 거 같습니다.)
이상으로 제로페이에 대한 모든것을 알아봤습니다. 돌아다니다보면 제로페이 가맹점이 요즘 들어 늘어나고 있는데 저도 한번 써 보려고 생각 중인데 이 글 보시고 생각 있으신 분들은 써보면 경제적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무크(k-mooc)로 무료 학점 취득과 국가자격증 취득하세요!! (2) | 2021.04.30 |
---|---|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자격증 취득해서 취업해요!!^^ (2) | 2021.04.30 |
소상공인의 빛 , 희망리턴 패키지의 폐업지원금과 취업지원에 대한 모든 것~! (0) | 2021.04.02 |
2021년 변경된 아이돌봄서비스 비용, 신청방법, 종류 등에 대한 모든 것~ (0) | 2021.03.31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내집마련, 가입 서두르세요~!!!(가입조건, 필요서류, 혜택 등) (2) | 2021.03.31 |